【해양경찰학개론 범위(안)】
목 차 | 주요 내용 | 세부 내용 |
개 념 | 해양경찰의 의의 | 해양경찰의 임무, 수단, 관할, 이념, 윤리 등 |
해양경찰의 역사와 제도 | 시대적 구분에 따른 연혁 및 제도 | |
비교 해양경찰 | 국내・외 관련기관 비교 | |
법적 토대 | 해양경찰 조직 | 해양경찰조직법 내용・근거, 해양경찰 기관 |
해양경찰 작용 | 해양경찰작용법 내용・근거, 경찰권 발동의 한계, 해양경찰 작용의 형태 및 구제 수단 | |
행 정 | 해양경찰 행정관리 | 조직, 정책, 인사, 재정, 홍보, 보안, 장비, 행정응원, 개혁・변화관리 등 |
해양경찰 통제 | 통제의 의의와 필요성, 기본요소, 통제유형 등 | |
경 비 | 해양경비 | 경비의 의의, 경비세력 운용, 해상검문검색, 불법선박 단속 등 |
작전・위기관리 | 통합방위작전, 국가 위기관리, 비상대비 등 | |
해양대테러・경호 | 해양대테러 활동, 해상경호 등 | |
구조안전 | 수색구조 | 수색구조 제도, 체계, 절차 등 |
해양안전 | 파출소・출장소 운영, 현장 안전관리 등 | |
수상레저 | 수상레저기구, 수상레저 조종면허, 수상레저 안전관리, 수상레저 사업 등 | |
해상교통 | 다중이용선박 안전관리, 해상교통관제 등 | |
수사정보 | 수 사 | 수사의 개념, 법적 근거, 수사서류, 수사절차・활동, 수사행정, 과학수사 등 |
정 보 | 정보의 특성, 정보의 분류, 정보활동 및 한계, 정보의 순환 등 | |
보 안 | 방첩활동, 보안수사, 대남전략 노선과 대남공작기구, 대공상황 등 | |
외 사 | 외사유형, 외사대상, 외사수사・정보활동, 국제협력 등 | |
해양환경 | 해양오염방제 | 방제계획, 오염사고대비대응, 방제장비 및 기자재 운용 등 |
해양오염예방 | 해양오염 감시・단속 등 |
※ 조직 및 정책 변화에 따른 세부내용 변경 가능